728x90 책추천10 러닝 하는 동안 지킬 것들 1. 일주일에 5일, 평일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달린다. 단, 비 오는 날은 제외.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에서 하루 일정을 쪼개어 운동하러 가는 일은 쉽지 않다. 퇴근을 여섯 시에 하고 집에 오면 일곱 시, 씻고 간단하게 식사를 마치면 여덟 시. 열한 시에 잠든다고 하면 분명 세 시간의 여유가 있지만 이 시간에 운동을 하려면 아주 큰 결심이 필요하다. 가족과 단란하게 이야기도 나누고, 미뤄뒀던 개인 메시지에 답변도 하고, 오늘 하는 재미있는 TV 프로그램도 봐야 한다. 이 활동들은 그다지 의미가 없어 보이지만, 이것들이야말로 내가 직장에서 하루 종일 버티는 이유이다. 따라서 그다지 재미도 없을 뿐만 아니라 땀이나 뻘뻘 흘리는 운동 따위에 이 시간을 양보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던 내가, 드디어 13년간의 직장.. 2022. 5. 30. 《브레인투어》메타버스 튜토리얼 ‘초월’을 의미하는 ‘meta’와 ‘우주·세계’를 의미하는 ‘universe’의 합성어인 메타버스(metaverse)는 2021년 영국 콜린스 사전이 선정하는 ‘올해의 단어’ 후보에 올랐다. NFT(대체불가토큰)에 밀려 안타깝게도 최종 선정이 되지는 못했지만 어쨌든 2021년 이후 끊임없이 인구에 오르내리며 날로 유명세를 더해가는 중이다. 이렇게 많이 듣고 말하는데 도대체 메타버스란 무엇일까? 지난 대선에서 누군가 타고 다녔다는 매주 타는 버스를 말하는 걸까? 나처럼 이런 궁금증을 갖고 있었고 마침 지금 약간의 시간 여유가 있어 이 궁금증을 해소해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우선 메타버스와 관련한 아래 영상을 보면 도움이 되겠다. 짧은 영상(1분 22초): 이야기나무 공식 채널 “김상균 교수님과 함께하는 메타버.. 2022. 5. 28. 《너는 다시 태어나려고 기다리고 있어》서평집의 서평을 쓰는 방법 서평집의 서평은 어떻게 쓰면 좋을까? ‘서평은 어떻게 쓰는 걸까’를 고민하다 모범이 되는 예시를 찾게 되고, 그러다 보니 또 서평집을 읽어 두 번째로 서평집의 서평을 쓴다. 사실은, 그레이엄 핸콕의 《신의 지문》을 정면으로 반박하며 책 두 권(상, 하권)의 지면을 몽땅 《신의 지문》의 허구성을 논증하는 내용으로 채운 서평, 영국의 고대사 전문가 피터 제임스가 쓴 《옛 문명의 풀리지 않는 의문들》을 다시 읽어볼까 하는 중이었다. 능숙한 솜씨로 유려하고 똑 부러지게 조목조목 따지는 글을 읽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러다 어디에선가 이 책 《너는 다시 태어나려고 기다리고 있어》의 서문을 읽었다. 새침하게 새치기해 들어오는 이 책의 서문에, 고대사를 연구하는 영국 신사는 기꺼이 자리를 양보해주었다. 논증을 갈구하던.. 2022. 4. 27.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우리는 삶에서 무엇을 보는가 나는 알랭 드 보통, 특히 《일의 기쁨과 슬픔》이라는 책의 열렬한 팬이다. 유난히 지쳐 ‘도대체 일은 왜 하는 걸까?’라는 질문으로 머리가 가득 찼던 어느 퇴근길에 우연히 발견한 책. 알랭 드 보통은 이 책에서 자신과 전혀 접점이 없는 일을 하는 사람들을 두루 만난다. 물류 창고 직원, 제과 회사 기획 담당자, 화가, 직업 상담사, 송전탑 수리공 등등……. 책을 읽는 동안 나는 그와 동행하며 각 직업을 일컫는 단어와 그 단어가 불러일으키는 단순한 이미지를 뛰어넘어, 나와 크게 다르지 않은 한 사람이 일하는 모습, 그 삶의 일부분을 엿보았다. 알랭 드 보통은 이러한 경험이 독자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그 의미를 일깨워 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썼다. 《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는 천문학자가 쓴 책이다. 그.. 2022. 4. 21. 《혼자가 되는 책들》Chapter1. 서평 쓰기 예제 3번 대학 2학년 전공과목 중 ‘유체역학’이 있었습니다. 고등학교 수학 Ⅱ, 물리 Ⅱ, 화학 Ⅱ, 지구과학 Ⅱ에 이어 대학교 공학 수학, 일반물리학 등 제가 가진 ‘이과’ 지식을 총동원해 봐도 생전 처음 만난 ‘베르누이 정리’는 난공불락의 성이었습니다. 설명하는 글을 읽으면 그렇겠다 싶다가도, 똑같은 말을 기호로 나타낸 수식을 보면 이내 자신이 없어지고 마는 것입니다. 그때 베르누이 정리 챕터의 끝에 구세주처럼 나타난 것이 있었습니다. 바로 예제 문제입니다. 기본 개념을 이해한 학생들이 그 개념을 실제로 활용하도록 도와주는 조력자이자, 앎을 행동으로 이어지게 하는 관문과도 같습니다. 저 같은 무지렁이 학생들은 예제 문제와 모범 풀이 과정을 통해 이론을 적용하는 방법을 알고 이해를 심화할 수 있었습니다. 비단 .. 2022. 4. 21. 이전 1 2 다음 728x90